오늘은 지역의료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직장을 다니고 있어
직장인 의료보험을 내고 있지만
저희 남편은 개인사업을 하는 관계로
지역의료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버는 돈은 얼마 안 되는 것 같은데
의료보험료를 너무 많이 내는 것 같아
계산해본 적이 있었는데요.
저와 같은 분들은 오늘 설명드리는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혹여나 직장을 그만두셨거나
소득이 없는 분들은 가족 중에
직장에 다니고 있는 분이 있다면
피부양가족으로 등록하면
지역의료보험료를 따로 납부하지 않아도 되니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지금부터 지역의료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검색 사이트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한 뒤
사이트 접속해주세요.
- 개인의 민원신청을 클릭해주세요.
- 건강보험 안내의 4대 사회보험료 계산을
클릭해주세요.
- 지역의료보험료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계산된 보험료는 예상금액이므로
실제 납부할 보험료와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확안 자료를 입력해야만
참고할 수 있는 보험료가 계산되겠죠?
지역보험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내ㆍ외국인 구분과 체류코드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가입자, 자동차, 재산, 소득을
차례대로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지역의료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 3,000만원과
자동차 2000cc 이하 정도만 입력했더니
매월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는
총 204,940원이 계산되네요.
건강보험료는 192,350원,
장기요양보험료는 12,590원이네요.
지역의료보험료 너무 비싼 거 같아요. ㅠ_ㅠ
다 이유 있는 산정 방식이겠지만
참 부담스럽더라구요. ㅠ_ㅠ
요즘 경기가 너무 좋지 않아
보험료가 더욱더 부담스럽네요.
하루빨리 경기가 좋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보네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지역의료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